1. 생애 및 학력
김시우 선수의 개인적 배경과 교육 과정은 그의 프로 경력 형성의 기반이 되었다.
1.1. 출생 및 어린 시절
김시우는 1995년 6월 28일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그의 신장은 0.1 m (5 in), 체중은 83 kg (182 lb)이다.
1.2. 학력
김시우는 육민관중학교와 신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연세대학교 체육교육과에 진학하여 학업을 병행했다.
2. 아마추어 경력
김시우는 프로 전향 전부터 유망한 아마추어 골프 선수로 활약했다.
그는 2011년 남자 골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한국 골프의 미래를 이끌 재목으로 기대를 모았다. 또한 2012년 아이젠하워 트로피에 대한민국 대표로 참가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도 경험을 쌓았다.
3. 프로 경력
김시우는 2012년 프로로 전향한 이래 PGA 투어에서 꾸준히 활동하며 여러 인상적인 기록들을 세웠다.
3.1. 초기 프로 활동
김시우는 2012년 PGA 투어 퀄리파잉 스쿨에서 공동 20위를 기록하며 투어 카드 획득에 성공했다. 당시 만 17세 5개월 6일의 나이로, 이는 PGA 투어 퀄리파잉 스쿨을 통과한 선수 중 역대 최연소 기록이었다. PGA 투어 규정에 따라 만 18세가 되기 전까지는 정식 멤버로 활동할 수 없었기에, 2013년 시즌 중반인 만 18세 생일 이후에야 투어에 합류할 수 있었다. 2013년 PGA 투어에 8개 대회에 출전했으나 7개 대회에서 컷 탈락하고 1개 대회에서는 기권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같은 해 웹닷컴 투어에도 7개 대회에 출전하여 4번의 컷 통과를 기록했다. 2014년에는 웹닷컴 투어에서 19개 대회 중 15개 대회에서 컷을 통과했으며, 클리블랜드 오픈에서 3위를 차지하는 등 꾸준한 모습을 보였다. 2015년 7월에는 스톤브레이 클래식에서 첫 웹닷컴 투어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당시 제이슨 데이에 이어 웹닷컴 투어 역대 최연소 우승자 2위에 올랐다. 2015년 시즌을 웹닷컴 투어 상금 순위 10위로 마무리하며 2016년 PGA 투어 시드를 획득했다.
3.2. PGA 투어 활동 및 주요 우승
김시우는 PGA 투어에 정식 데뷔한 이후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주요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16년 윈덤 챔피언십에서 PGA 투어 첫 우승을 차지하며 당시 21세로 그 시즌 PGA 투어 최연소 우승자가 되었다.
2017년에는 골프계의 5대 메이저 대회 중 하나로 불리는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전 세계 골프 팬들을 놀라게 했다. 그는 이언 폴터와 루이 우스트하이즌을 3타 차로 따돌리고 최종 라운드에서 보기 없는 69타를 기록하며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이 우승으로 김시우는 2011년 우승한 최경주에 이어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두 번째 한국인 선수가 되었다. 대회 전 세계 랭킹 73위였던 김시우는 2002년 우승 당시 200위권 밖이었던 크레이그 퍼크스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랭킹으로 우승한 선수가 되었으며, 우승 후에는 세계 랭킹 28위로 뛰어올랐다.
2018년 4월에는 RBC 헤리티지 대회에서 연장전 끝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그는 최종 라운드에서 상당 시간 단독 선두를 유지했으나, 후반 9개 홀에서 3오버파를 기록하고 결정적인 퍼트를 놓치면서 연장전에 돌입했다. 연장 세 번째 홀에서 고다이라 사토시가 파3 17번 홀에서 장거리 버디 퍼트를 성공시키며 패했다.
2021년 1월에는 캘리포니아주 라 퀸타에서 열린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대회에서 우승했다. 최종 라운드에서 8언더파 64타를 기록하며 패트릭 캔틀레이를 1타 차로 제치고 PGA 투어 통산 세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같은 해 8월에는 다시 윈덤 챔피언십에서 72홀 동안 5명의 다른 선수들과 공동 선두를 기록했으나, 연장전에서 케빈 키스너에게 우승을 내주었다.
2023년 1월에는 소니 오픈 인 하와이에서 우승했다. 마지막 두 홀에서 버디를 기록하며 헤이든 버클리를 1타 차로 제치고 PGA 투어 통산 네 번째 우승을 거머쥐었다.
3.3. 메이저 대회 출전 결과
김시우는 여러 주요 메이저 대회에 출전하여 다양한 성적을 기록했다.
대회 | 2016 | 2017 | 2018 |
---|---|---|---|
매스터스 토너먼트 | CUT | T24 | |
US 오픈 | T13 | CUT | |
디 오픈 챔피언십 | CUT | T67 | |
PGA 챔피언십 | CUT | WD | CUT |
2020년 결과는 연대순이 아닐 수 있습니다.
대회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매스터스 토너먼트 | T21 | T34 | T12 | T39 | T29 | T30 |
PGA 챔피언십 | CUT | T13 | CUT | T60 | CUT | CUT |
US 오픈 | CUT | CUT | T40 | CUT | T39 | T32 |
디 오픈 챔피언십 | CUT | NT | T15 | CUT | T43 |
- CUT = 중간 컷 탈락
- WD = 기권
- "T" = 공동 순위
- NT = 대회 미개최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대회 | 우승 | 2위 | 3위 | 탑-5 | 탑-10 | 탑-25 | 출전 횟수 | 컷 통과 횟수 |
---|---|---|---|---|---|---|---|---|
매스터스 토너먼트 | 0 | 0 | 0 | 0 | 0 | 3 | 8 | 7 |
PGA 챔피언십 | 0 | 0 | 0 | 0 | 0 | 1 | 9 | 2 |
US 오픈 | 0 | 0 | 0 | 0 | 0 | 1 | 8 | 4 |
디 오픈 챔피언십 | 0 | 0 | 0 | 0 | 0 | 1 | 6 | 3 |
총계 | 0 | 0 | 0 | 0 | 0 | 6 | 31 | 16 |
3.4.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출전 결과
김시우는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에서 역사적인 우승을 포함하여 꾸준히 참가하며 성적을 기록했다.
3.4.1. 우승 (1)
연도 | 대회 | 54홀 순위 | 우승 스코어 | 타수 차이 | 준우승 |
---|---|---|---|---|---|
2017 |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 2타 차 열세 | -10 (69-72-68-69=278) | 3타 | Louis Oosthuizen루이 우스트하이즌영어, Ian Poulter이언 폴터영어 |
3.4.2. 결과 타임라인
대회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 T23 | 1 | T63 | T56 | C | T9 | WD | T27 | T6 |
- "T" = 공동 순위
- WD = 기권
- C = 대회 취소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첫 라운드 후 취소)
3.5. 월드 골프 챔피언십 출전 결과
김시우는 월드 골프 챔피언십(WGC) 시리즈 대회에도 여러 차례 출전하여 기량을 선보였다.
대회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챔피언십 | T72 | |||||||
매치 플레이 | T30 | R16 | T61 | NT | T56 | T18 | T17 | |
초청 대회 | T50 | T10 | 65 | |||||
챔피언스 | T63 | T69 | NT | NT | NT |
- NT = 대회 미개최 (주로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 QF, R16, R32, R64 = 매치 플레이에서 패배한 라운드
- "T" = 공동 순위
- 참고: 챔피언십 및 초청 대회는 2022년부터 중단되었다. 챔피언스는 2023년부터 중단되었다.
3.6. 단체전 참가
김시우는 국가대표 및 국제 팀의 일원으로 단체전에 참가하여 팀에 기여했다.
그는 2017년 프레지던츠 컵, 2022년 프레지던츠 컵, 2024년 프레지던츠 컵에서 프레지던츠 컵 국제팀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특히 2022년 대회에서는 4경기 중 3승 1패를 기록하며 팀에 기여했다. 또한 2018년 월드컵에서는 대한민국 대표로 참가했으며, 2021년 제32회 도쿄 올림픽과 2022년 아시안 게임 (항저우) 남자 골프 단체전에서도 국가대표로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4. 프로 우승 기록
김시우는 프로 경력 동안 PGA 투어에서 4승, 웹닷컴 투어에서 1승을 포함하여 총 5번의 우승을 달성했다.
4.1. PGA 투어 우승
김시우가 PGA 투어에서 거둔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순서 | 날짜 | 대회 | 우승 점수 | 파 | 2위와의 차이 | 준우승 |
---|---|---|---|---|---|---|
1 | 2016년 8월 21일 | 윈덤 챔피언십 | 68-60-64-67=259 | -21 | 5타 | Luke Donald루크 도널드영어 |
2 | 2017년 5월 14일 |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 69-72-68-69=278 | -10 | 3타 | Louis Oosthuizen루이 우스트하이즌영어, Ian Poulter이언 폴터영어 |
3 | 2021년 1월 24일 |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 66-68-67-64=265 | -23 | 1타 | Patrick Cantlay패트릭 캔틀레이영어 |
4 | 2023년 1월 15일 | 소니 오픈 인 하와이 | 67-67-64-64=262 | -18 | 1타 | Hayden Buckley헤이든 버클리영어 |
4.1.1. 플레이오프 기록
김시우의 PGA 투어 플레이오프 기록은 0승 3패이다.
순서 | 연도 | 대회 | 상대 | 결과 |
---|---|---|---|---|
1 | 2016 | 바바솔 챔피언십 | Aaron Baddeley아론 배들리영어 | 네 번째 추가 홀에서 버디로 패배 |
2 | 2018 | RBC 헤리티지 | Satoshi Kodaira고다이라 사토시영어 | 세 번째 추가 홀에서 버디로 패배 |
3 | 2021 | 윈덤 챔피언십 | Branden Grace브랜든 그레이스영어, Kevin Kisner케빈 키스너영어, Kevin Na케빈 나영어, Adam Scott (golfer)아담 스콧영어, Roger Sloan로저 슬론영어 | 두 번째 추가 홀에서 키스너의 버디로 패배 |
4.2. 웹닷컴 투어 우승
김시우가 웹닷컴 투어에서 거둔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순서 | 날짜 | 대회 | 우승 점수 | 파 | 2위와의 차이 | 준우승 |
---|---|---|---|---|---|---|
1 | 2015년 7월 19일 | 스톤브레이 클래식 | 66-65-69-68=268 | -12 | 플레이오프 | Jamie Lovemark제이미 러브마크영어, Wes Roach웨스 로치영어 |
4.2.1. 플레이오프 기록
김시우의 웹닷컴 투어 플레이오프 기록은 1승 0패이다.
순서 | 연도 | 대회 | 상대 | 결과 |
---|---|---|---|---|
1 | 2015 | 스톤브레이 클래식 | Jamie Lovemark제이미 러브마크영어, Wes Roach웨스 로치영어 | 첫 번째 추가 홀에서 버디로 우승 |
5. 후원 및 제휴
김시우는 프로 경력 동안 다양한 기업과 후원 및 제휴 관계를 맺었다.
그는 CJ오쇼핑과 CJ대한통운의 후원을 받으며 활동했다.
6. 개인 생활
김시우 선수의 개인적인 정보는 그의 대중적 이미지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김시우는 2022년 골프 선수 오지현과 결혼했다.
7. 평가 및 영향
김시우는 한국 골프계를 대표하는 선수 중 한 명으로서 여러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7.1. 주요 업적 및 긍정적 평가
김시우는 PGA 투어에서 4승을 거두며 세계 최고 수준의 무대에서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2017년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에서 역대 최연소 우승 기록을 세운 것은 그의 뛰어난 재능과 잠재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웹닷컴 투어에서도 역대 두 번째 최연소 우승을 차지하는 등 어린 나이부터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정교한 샷과 위기관리 능력은 경기에서 강점으로 꼽히며, 꾸준한 성적을 통해 한국 남자 골프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7.2. 비판 및 논란
김시우 선수의 경력이나 행동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대중적으로 크게 알려진 비판이나 논란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