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인 배경
가와시마 료는 지바현 지바시 이나게구에서 태어났다. 그의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은 야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1.1. 출생 및 유년 시절
가와시마 료는 1981년 9월 9일 일본 지바현 지바시 이나게구에서 태어났다.
1.2. 학창 시절 및 아마추어 경력
가와시마는 지바시립 이나게 중학교에서 야구를 시작했으며, 중학교 시절에는 '키타치바 포니' 팀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이 팀의 OB 중에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그의 팀 동료였던 이시이 가즈히사도 있다. 이후 지바 경제대학 부속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하치노헤 대학에 진학하여 하치노헤 대학 경식 야구부에서 활동했다. 대학 동기로는 투수 이시카와 켄이 있다. 그는 대학 1학년 때부터 등판 기회를 얻었으며, 2학년 때는 하치노헤 대학 역사상 처음으로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했다. 3학년 때는 2회전에서 선발 승리를 거두며 팀을 8강에 진출시키는 데 기여했다. 또한 미일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도 출전했으나, 4학년 때는 오른쪽 어깨 통증이 발생하여 부상으로 고생했다.
2. 프로 경력
가와시마 료는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활동하며 투수로서의 경력을 쌓았다.
2.1. 드래프트 및 프로 입단
가와시마 료는 2003년 일본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에 자유 획득 틀로 입단했다. 그의 등번호는 과거 스왈로즈의 에이스였던 마쓰오카 히로무와 가와사키 겐지로가 달았던 17번으로 결정되었다.
2.2.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시절
가와시마 료는 2004년부터 2011년까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소속으로 활약했다.
2.2.1. 신인왕 수상 및 주요 성과 (2004년)
2004년 프로 데뷔 첫 해, 가와시마는 시즌 중반부터 평균자책점을 크게 낮추며 선발 투수진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다. 시즌 막판에는 5연승을 기록하며 10승을 달성했고, 평균자책점은 센트럴 리그 전체 3위인 3.17을 기록하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그 해의 신인왕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2.2.2. 부상 및 시즌별 성적 (2005-2007년)
2005년에는 전년도의 활약과는 달리 오른쪽 어깨 통증으로 시즌 초반 출전이 지연되었다. 하지만 복귀 후에는 29이닝 연속 무실점을 기록하는 등 호투를 이어갔다. 비록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두 자릿수 승리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개인 최고 기록인 2.81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으며, 피홈런도 절반으로 줄었다. 투수임에도 불구하고 타율 3할 이상을 기록하는 등 타격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였으나, 시즌 막판에 다시 오른쪽 어깨 통증이 재발하여 전력에서 이탈했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는 총 6승에 그쳤으며, 2007년 오프시즌에는 오른쪽 어깨 클리닝 수술을 받았다.
2.2.3. 후반기 및 이적 (2008-2011년)
2008년부터 팀에 동명이인인 가와시마 게이조가 이적해 오면서, 스코어보드 표기 및 장내 아나운스에서 풀네임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전년도 수술 후 재활의 영향으로 개막전 1군 등록에는 실패했다. 5월 4일에 1군에 승격되었으나 기복이 심해 곧바로 2군으로 강등되었다. 6월 7일 재승격 이후에는 승수를 쌓아갔지만,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는 극도로 약한 모습을 보였고(7.51의 평균자책점), 시즌 막판에는 5경기에서 8개의 홈런을 허용하는 등 성적이 악화되었다.
2009년에는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면서도 개막부터 선발 로테이션의 한 축을 지켰다. 그러나 세·파 교류전의 변칙 로테이션 편성으로 인해 2군으로 강등되었고, 7월 1군 재승격 이후에는 등판할 때마다 실점을 이어가 7월 30일 다시 2군으로 강등되었다. 8월 26일 1군에 재승격되어 같은 날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메이지 진구 야구장)에 선발 등판했으나 자멸하며 다음 날 다시 2군으로 강등되었고, 그대로 시즌을 마쳤다.
2010년 5월 3일 1군에 승격되어 약 한 달간 중계 투수로 등판하며 실전 감각을 익혔고, 6월 1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전(후쿠오카 돔)에서 시즌 첫 승을 거두었다. 이후 등판 기회가 없어 6월 21일 2군으로 강등되었고, 그대로 시즌을 마쳤다. 같은 해 12월 24일, 유치원 교사로 근무하던 일반인 여성과 결혼했다.
2011년 8월 14일 1군에 승격되어 같은 날 한신 타이거스전(진구)에 선발 등판했으나 3이닝 2실점으로 강판되었다. 다음 날 2군으로 강등되었고, 시즌 단 1경기 등판에 그쳤다. 같은 해 11월 21일, 금전 트레이드를 통해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이적한다고 발표되었다. 라쿠텐에서의 등번호는 61번이었다.
2.3.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시절
가와시마 료는 2012년 한 시즌 동안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소속으로 활동했다.
2.3.1. 성적 및 방출 (2012년)
2012년에는 2군에서 12경기에 등판하여 1승 2패, 6.60의 평균자책점 (총 투구 이닝 15이닝, 자책점 11)을 기록했다. 1군에는 한 번도 등록되지 못했고, 10월 2일 구단으로부터 전력 외 통고를 받았다.
2.4. 은퇴
가와시마는 2012년 11월 9일 12구단 합동 트라이아웃에 참가했지만, 그를 영입하는 구단은 없었다. 결국 2013년 3월 17일 현역 은퇴를 공식 발표하며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3. 플레이 스타일
가와시마 료는 오버핸드 스로 투수로, 최고 구속 150 km/h의 직구와 컷 패스트볼, 슬라이더, 포크볼을 주무기로 사용했다.
4. 개인사
가와시마 료는 선수 생활 외적으로도 흥미로운 개인적인 면모를 가지고 있다.
4.1. 인물 및 사생활
가와시마는 지바현 출신답게 맥스 커피를 매우 좋아한다. 소년 시절에는 지바 롯데 마린스의 팬이었으며, 투수 구로키 도모히로를 존경했다. 또한 투수 시미즈 나오유키와도 친분이 깊어, 시미즈의 "할 수밖에 없어(やるしかないねん야루시카나이넨일본어)" 티셔츠를 직접 받은 적도 있다고 본인의 블로그에 언급했다.
대학 3학년 때까지는 팬이었던 롯데와 서로 좋은 관계를 유지했으나, 이후 가와시마가 부상을 당하자 롯데가 일시적으로 영입을 철회했다. 반면 야쿠르트는 가와시마가 부상 중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그에게 관심을 보이며 적극적으로 영입을 추진했다. 가와시마는 야쿠르트의 이러한 진심을 받아들여 야쿠르트를 역지명하게 되었다. 2010년 12월 24일에는 유치원 교사로 근무하던 일반인 여성과 결혼했다.
5. 상세 경력 및 기록
가와시마 료의 프로 선수 경력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와 기록은 다음과 같다.
5.1. 연도별 투수 성적
| 연도 | 소속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홀드 | 승리 | 패전 | 세이브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폭투 | 보크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 2004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23 | 21 | 2 | 0 | 1 | 10 | 4 | 0 | -- | .714 | 574 | 139.1 | 115 | 26 | 39 | 1 | 3 | 128 | 6 | 1 | 52 | 49 | 3.17 | 1.11 |
| 2005 | 20 | 20 | 1 | 1 | 0 | 9 | 10 | 0 | 0 | .474 | 516 | 128.1 | 120 | 13 | 35 | 0 | 2 | 78 | 4 | 0 | 41 | 40 | 2.81 | 1.21 | |
| 2006 | 9 | 9 | 0 | 0 | 0 | 2 | 2 | 0 | 0 | .500 | 197 | 47.0 | 43 | 6 | 16 | 3 | 0 | 39 | 1 | 0 | 20 | 20 | 3.83 | 1.26 | |
| 2007 | 11 | 11 | 0 | 0 | 0 | 4 | 3 | 0 | 0 | .571 | 265 | 65.2 | 58 | 9 | 15 | 1 | 2 | 35 | 0 | 0 | 26 | 25 | 3.43 | 1.11 | |
| 2008 | 20 | 20 | 0 | 0 | 0 | 7 | 9 | 0 | 0 | .438 | 497 | 115.0 | 115 | 19 | 44 | 0 | 2 | 83 | 2 | 0 | 67 | 60 | 4.70 | 1.38 | |
| 2009 | 14 | 14 | 0 | 0 | 0 | 5 | 6 | 0 | 0 | .455 | 315 | 73.0 | 72 | 11 | 25 | 1 | 3 | 48 | 3 | 0 | 44 | 39 | 4.81 | 1.33 | |
| 2010 | 7 | 1 | 0 | 0 | 0 | 1 | 0 | 0 | 1 | 1.000 | 69 | 16.1 | 13 | 1 | 10 | 0 | 0 | 12 | 0 | 0 | 4 | 4 | 2.20 | 1.41 | |
| 2011 | 1 | 1 | 0 | 0 | 0 | 0 | 1 | 0 | 0 | .000 | 15 | 3.0 | 5 | 0 | 1 | 0 | 0 | 1 | 0 | 0 | 2 | 2 | 6.00 | 2.00 | |
| 2012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12 | 1 | 0 | 0 | 0 | 1 | 2 | 0 | 0 | .333 | 15 | 3.0 | 5 | 0 | 1 | 0 | 0 | 1 | 0 | 0 | 2 | 2 | 6.60 | 2.00 |
| 통산: 8년 | 105 | 97 | 3 | 1 | 1 | 38 | 35 | 0 | 1 | .521 | 2448 | 587.2 | 541 | 85 | 185 | 6 | 12 | 424 | 16 | 1 | 256 | 239 | 3.66 | 1.24 |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을 의미한다.
5.2. 수상 경력
- 신인왕 (2004년)
5.3. 주요 기록
; 투수 기록
- 첫 등판·첫 선발: 2004년 4월 4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3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3이닝 5실점으로 패전 투수
- 첫 탈삼진: 위와 동일, 1회 초 타이론 우즈에게 헛스윙 삼진
- 첫 완투: 2004년 5월 1일, 대 한신 타이거스 5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8이닝 2실점으로 패전 투수
- 첫 승리·첫 선발 승리: 2004년 5월 8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6차전(이와키 그린 스타디움), 8이닝 1실점
- 첫 완투 승리: 2004년 5월 15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7차전(도쿄 돔), 9이닝 2실점
- 첫 완봉 승리: 2005년 5월 19일, 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차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
- 첫 홀드: 2010년 5월 27일, 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10회 초 5번째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 타격 기록
- 첫 안타: 2004년 4월 18일, 대 한신 타이거스 3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4회 말 시모야나기 쓰요시에게 투수 내야 안타
- 첫 타점: 2004년 5월 8일,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6차전(이와키 그린 스타디움), 2회 말 사이토 다카시에게 좌전 적시타
5.4. 등번호
- 17 (2004년 ~ 2011년)
- 61 (2012년)
- 117 (2013년)
6. 은퇴 후 활동
현역 은퇴 후 가와시마 료는 야구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는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2군 스코어러 겸 타격 투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1군 매니저를 맡고 있다.
7. 관련 항목
- 지바현 출신 인물 목록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선수 목록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의 선수 목록
8. 외부 링크
- [https://ameblo.jp/ryo-kawashima61-0909/ 가와시마 료 오피셜 블로그 (아메바)]
- [http://spora.jp/kawashima/ 가와시마 료 오피셜 블로그 (SPORA)]